-공감- 감정 눈치를 보는 것 눈치를 보는 것과 눈치를 주는 것에 대한 차이가 있을까요? 눈치를 본다는 것은, 그 사람을 좋아하고 잘 보이고 싶어서 잘 지내고 싶은 마음이 있지만, 관계가 잘 안 풀릴 때 느끼는 불편한 마음인 것 같습니다. 반면 눈치를 준다는 것은, 상대가 우위에 있거나 그 자리가 불편하고 싫다는 마음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집안일로 의견충돌이 생기면서 친척들과 불편한 마음이 생겨났습니다. 딸이 3살 때, 작은어머니, 사촌 동생, 조카들과 함께, 제가 어릴 적 자주 갔던 동물원에 가게 되었습니다. 가을의 높고 푸른 하늘에 날씨도 참 좋았고, 알록달록한 풍선을 한 개씩 들고 뛰어노는 아이들의 미소가 제 마음을 즐겁게 했습니다. 서로 손잡고 원숭이를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바라보는 아이들 뒤에서, 혼자 쉬고 계시는 작은어머니에게 다가갔습니다. “다음 주에 해외 놀러 가신다면서요. 약소하지만 맛있는 거 사드셔요” 조심스레 봉투를 건넸습니다. 그 사이 아이들은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깔깔대고 신이 났습니다. 해가 지기 전, 집에 가는 길 중국집에 들러 짜장면과 탕수육도 맛있게 먹었습니다. 딸이 즐거워하는 모습
대한민국경제신문 관리자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장관은 8월 11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베트남 부이 타인 손 부총리와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베트남 문체부) 응우옌 반 훙 장관을 만나 한국과 베트남 문화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양국 문화산업 지원 정책 공유, 문화콘텐츠 기업 현안과 지원방안 등 논의 이번 ‘한-베트남 문화산업 발전 협력 간담회’에서는 게임과 애니메이션 등 양국 문화산업 분야 기업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베트남 정부의 문화산업 지원정책 현황 및 향후 협력방안을 살펴보고 양국 주요 문화콘텐츠 기업들의 업계 현안과 애로사항, 이에 대한 지원방안을 논의한다. 먼저, 문체부는 국장급 기조연설을 통해 ▴10조 원 규모의 콘텐츠 정책금융 공급, ▴문화기술 연구개발(R&D) 강화 ▴‘케이-콘텐츠’와 연관산업 동반 해외진출 지원 등 ‘케이-컬처’ 시장 300조 원, 문화 수출 50조 원 비전 실현을 위한 주요 정책 방향을 발표한다. 베트남 문체부는 2030년 문화산업 국내총생산(GDP) 기여도 7% 달성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정책 사업들을 소개한다. 향후 문화산업에서 양국이 협력할 수 있는
눈팅만 남은 우정, 피로만 쌓인 감정 우정이 끝나는 순간은 생각보다 조용하다. 감정을 내뱉거나 다투는 일 없이, 말이 끊기고 연락이 뜸해진다. 어느 날 문득 서로의 삶에 개입하지 않게 된 두 사람은, ‘끝났다’는 말조차 없이 멀어진다. 하지만 관계는 그렇게 자연스럽게 종료되지 않는다. 끝내지는 않으면서 끝난 것처럼 살아가는 이 관계를 우리는 ‘지켜보는 사이’라고 부른다. SNS는 이 모호한 관계의 무대를 제공한다. 더 이상 메시지를 주고받지도 않고, 약속을 잡지도 않지만, 여전히 서로를 팔로우하고 스토리를 확인한다. 댓글은 사라지고, ‘좋아요’도 끊겼지만, 상대의 계정은 목록에 남아 있다. 누군가는 이를 성숙한 거리두기라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그것은 감정을 책임지지 않으려는 ‘미뤄진 해소’에 가깝다. 관계를 끝낼 용기는 없고, 이어갈 정성도 없는 상태. 이 중간 지점에서 우리는 애매한 감정들을 피로하게 반복한다. ‘좋아요’를 누르지 않은 이유를 고민하게 되고, 스토리를 봤다는 사실이 신호처럼 해석된다. “왜 내 글에는 반응이 없지?”, “그 사람은 여전히 내 편일까?”, “혹시 내가 뭘 잘못했나?” 질문은 명확하지 않고, 답은 오지 않는다
대한민국경제신문 관리자 기자 | 고양특례시가 주최하고, 고양컨벤션뷰로가 주관하는‘2025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GDW)의 개막식이 22일 소노캄 고양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됐다. 올해로 8회째를 맞는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GDW)는 8월 20일부터 23일까지 4일간 ‘마이스 산업의 성장 모색’이라는 주제로 진행되고 있다. 시는 전략산업 중 하나인 마이스 산업을 육성하고 국제컨벤션협회(ICCA), 글로벌 목적지 지속가능성 협의체(GDSM) 등 국제 마이스 기구 관계자 간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글로벌 마이스 도시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GDW)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개막식에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마이스 산업은 단순한 회의와 전시를 넘어 도시의 브랜드와 가치를 높이는 미래 전략 산업”이라며, “고양 데스티네이션 위크(GDW)에서 공유되는 지식과 담론, 그리고 비전이 고양특례시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고양특례시는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 스마트시티 구축,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을 유기적으로 추진해 첨단 인프라와 융복합 생태계를 완성하고 도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